티스토리 뷰

반응형

 

 

< 복(福)은 받는 게 아니라 짓는 것...>

.

산속 깊은 곳에 토굴을 짓고 혼자 수행 정진해 온 노 스님이 먼 마을로 겨울양식을 구하러 탁발(托鉢)을 나섰다. 



날이 저물어 무명 촌로의 집에 하룻밤을 묵게 되었는데, 노승은 주인 부자지간의 대화하는 소리를 듣게 된다.


아버지가 아들에게 이른다.


“윗마을에 사는 박 첨지가 어젯밤에 죽었다는데 지옥에 갔는지 천당으로 갔는지 알아보고 오너라.”

 


“예.”



노 스님은 참으로 알 수 없었다.  자기는 일생을 참선 수행을 하며 살아왔지만, 죽은 사람이 지옥을 가는지 극락으로 가는지는 도저히 알 수 없는 일인데,  한 촌부가 어떻게 저런 거침없는 말을 하는지 놀랍기만 했다.

 


그러한데 얼마 후, 그 아들이 돌아와 자기 아버지께 “천당으로 갔습니다” 하고 아뢰니 



"그랬을 거야” 하는 것이다.

 

 

노 스님은 더욱 기가 막혔다.  이 노인과 저 젊은이가 죽은 자가  극락으로 가는 것을 볼 수 있는 신통력이라도 있다는 말인가? 



궁금증 속에 날이 밝았다.



이번에는 주인 노인이 또 아들을 불렀다. 이웃마을 김진사도 죽었다는데 어디로 갔는지 알아보고 오너라.

 


잠시 후, 이웃마을을 다녀온 아들이 아버지께 “김 진사는 지옥으로 갔습니다” 아뢰었고

 

 

 “그럼 그렇지” 하는 것이었다.



더 이상 긍금증을 참지 못한 노 스님은 주인을 찾아가 물어보게 된다.

 


노 처사(老處士)님! 죽은 사람이 지옥을 가는지 극락을 가는지 어떻게 알 수가 있으시오.”


주인은 미소를 지으며  "죽은 사람 마을에 가면, 금방 알 수가 있지요” 하면서 이렇게 말했다.



"윗마을 박 첨지는 살아생전에 심성이 후덕하고 양심이 고우며 동리의 궂은일은 도맡아 했으니, 

 

온 동리 사람들이 모여 그의 죽음을 애통해 하며 극락왕생을 빌고 또 빌었으니 필경, 극락에 갔을 것이며, 

이웃마을 김 진사는 평소 얼마나 인정머리 없이 모질고 독하였던지 김 진사가 죽자 동리사람들이 모여 수군대기를 

'그 많은 재산 두고 아까워 어찌 죽었을고, 귀신은 지금까지 뭘 먹고 살았노, 저승사자 어긋 만나 오래도 살았지’ 

이렇게 악담을 퍼부으니 지옥밖에 더 갈 데가 어디 있겠소.”

 

 

 

 

옮긴 글

반응형

'세상의 따뜻한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암소 9 마리의 교훈  (0) 2023.01.19
걸인이 들려준 교훈 *  (0) 2023.01.17
내 것이 아니었다!  (0) 2023.01.17
기도 *  (0) 2023.01.15
절뚝이 부인과 박사 사모님  (0) 2023.01.15
사람의 향기 *  (0) 2023.01.13
반응형